세상사

[경제]카카오 주가 상승 요인 및 ai 사업

(b_d) 2025. 6. 18. 12:49

최근 카카오(035720.KS) 주가 상승은 다음과 같은 핵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.



🚀 상승 원인
1. AI 신사업 기대감
• 이재명 정부의 AI 육성 정책 발표 이후, 카카오가 AI 인프라 구축과 ▲‘카나나’ AI 메이트 베타 테스트와 ▲오픈AI 협업 계획 등 하반기 신서비스 출시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 
• 특히 6월 9일엔 AI 관련 정책 호재와 그룹사 동반 상승이 맞물려 카카오만 14~16% 급등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 
2. 스테이블코인 수혜 기대
•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기대감이 커지며 카카오페이를 포함한 카카오 그룹주 전체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 
3. 기관·외국인 매수세
• 강한 기관·외국인 순매수 흐름과 함께, AI와 결제사업 호재가 맞물려 투자 심리가 회복되고 있습니다  



🔮 향후 전망
• 단기:
당분간 AI 정책, 협업 뉴스, 스테이블코인 도입 정책이 더해지며 단기 모멘텀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 다만, 기대 선반영에 따른 조정 리스크 역시 존재합니다.
• 중장기:
• AI 성과가 실제 비즈니스로 전환(예: 챗봇·추천 시스템·페이 인프라 등)된다면 펀더멘털 강화와 밸류에이션 확장이 가능해 5–6만 원대 회복도 충분히 기대됩니다.
• 반면, AI 및 스테이블코인 정책의 불확실성, 자회사 실적 부진 우려는 하락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, 일부 증권사도 성장 지속 여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합니다  



📊 요약 테이블

기간 주요 포인트
단기 AI 뉴스·스테이블코인 기대감이 주류. 변동성 크고 급등·조정 반복
중기 하반기 신AI 서비스 성패·정책 흐름이 향후 6만 원대 도달 여부 결정
리스크 AI 성능과 실행력, 금융정책/규제 지형, 자회사 실적 둔화 가능성
투자 전략 조정 구간(신뢰 지지선) 매수 관점 유효 / 중장기 인 베스트도 유효




아래는 카카오의 AI 사업 개요와 기술적 분석 요약입니다.



🤖 AI 사업 개요

1. 핵심 조직과 전략
• 카카오브레인(2017년 설립)은 자연어처리(NLP), 이미지·음성 인식 등 AI 핵심 기술을 연구 개발합니다  .
• 최근 **‘카나나’ 조직(알파·엑스)**을 신설해 AI 모델 개발(카나나 알파)과 서비스 적용(카나나 엑스)을 분담하는 체제로 전환했습니다
• ‘코GPT 2.0’ 한국어 특화 LLM과 ‘칼로’ 이미지 생성 등 멀티모달 모델을 개발 중이며, 곧 B2C용 ‘카나나’ AI 메이트 풀 라인이 출시될 예정입니다

2. 서비스 및 응용
• 카나나: 개인·그룹 대화 맥락을 이해하고 맞춤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AI 메이트 (나나·카나)
• 챗봇 관리자센터, 카카오미니 보이스봇 등 기존 플랫폼에도 AI를 통합하여 사용자 경험 강화에 나서고 있습니다 
• 투자 인프라: AI 통합과 GPU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약 1,500억 원 이상 투자하며, R&D 및 자회사 통합도 병행하고 있습니다 

3. 재무 및 리스크
• 카카오브레인 및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수년간 누적 적자를 기록 중이며, 2022년 기준 수천억 원 규모의 영업 손실을 내고 있습니다 
• 주요 AI 인력인 김일두 전 대표 등의 이탈로 코GPT 2.0 출시 지연 리스크가 존재하며, 네이버와의 AI 기술 경쟁도 부담입니다

4. 향후 방향성
• 2024년 하반기, B2C AI 메이트를 포함한 첫 상용 AI 서비스가 예정되어 있습니다 
• 멀티모달 모델 활용의 확대를 통해, 카카오톡, 멜론, 헬스케어, 상담형 콘텐츠 등으로 AI 접목을 늘려갈 계획입니다



📈 기술적 분석 요약

A. 추세와 이동평균
• 투자전망 사이트 기준: 단기·장기 이동평균에서 모두 매수 신호가 확인되며, 50일 MA가 200일 MA를 상회하는 골든크로스 상황입니다
• MarketScreener 분석: 단·중·장기 모두 **강세 추세(Bullish)**로 평가되며, 저항선 약 53,200원, 지지선 약 44,000원 수준입니다

B. 모멘텀·오실레이터 지표
• RSI 및 MACD:
• RSI는 보통 70 이상에서 과열(overbought), 30 이하에서 과매수(oversold) 상태로 평가되지만, 현재 구체 숫자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인 모멘텀은 긍정 평가입니다  

• MACD는 단기 EMA(12일)와 장기 EMA(26일) 간 차이를 이용한 지표로, 현재 MACD선이 시그널선 위에 있어 강세 시그널로 작용하고 있습니다

C. 단기·중기 대응 전략
• 단기: 단기 조정 시 51,400원대 지지선 근처에서 반등 가능성이 있으며, 상단 저항 돌파 시 추가 상승 여력도 존재합니다 .
• 중기: 강한 상승 추세가 유지 중이며, 주요 이동평균선 상단에서 장기 상승 여력이 남아 있습니다 .



✅ 종합 요약

구분 내용
AI 사업 카나나 조직 중심의 멀티모달 AI 전략, 출시 지연 리스크 존재
기술적 분석 이동평균선 골든크로스·MACD·RSI 등 전반적인 매수 신호 우세
투자 전략 단기 조정 시 매수, 중기 추세 지속 기대, 주요 지지·저항선 확인 필수





🎯 카카오 주가 상승, 어디까지?
1. 증권사 목표가 범위
• 최근 증권사 평균 목표가는 47,600원 수준으로, 현재 주가 대비 ~-12% 하락 여력이 있다는 보수적 시각도 존재
• 반면, 흥국·키움·한화투자 등은 63,000~70,000원까지 상향했으며, 이를 달성하면 현 주가 대비 20~30%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.
2. 밸류에이션과 리스크
• P/E 및 PEG 비율 등이 업종 평균보다 높아 ‘밸류에이션 피로감’ 우려가 있으며, 적정가 대비 과대 평가 논란도 존재  .
• AI 사업의 실제 성과, 자회사 실적, 정부 정책 변화, 경쟁 심화 등이 향후 주가 흐름의 관건입니다.
3. 예측 범위 총정리

구분 보수적 중립 낙관적
목표가 47,600원 63,000원 70,000원
상승 여력 ↓12% +20% +30%+

• 보수적 시나리오: AI 사업 기대가 제한적일 경우 → 조정 가능성
• 중립/낙관 시나리오: AI 사업 가시화 및 밸류업 지속 → 6만 원대는 충분히 가능



🧠 AI 사업 관련 주식 추천

🇰🇷 국내 AI 수혜주
• 더존비즈온: ERP·회계 시스템에 AI 도입    
• 이스트소프트: 딥러닝 기반 보안·소프트웨어 사업 강화
• 크라우드웍스: AI 학습용 데이터 플랫폼 제공
• 한국전자인증: AI 기반 인증 서비스 및 전자인증서 적용
• 플리토: 기계번역 학습 데이터 구축, OCR 활용 중

🌍 해외 AI 관련 종목
• Nvidia (NVDA): AI GPU 시장 압도적 점유율, 2025년 매출 50%↑ 전망
• TSMC (TSM): GPU 파운드리 세계 1위, AI 칩 수요 불붙음
• Microsoft (MSFT): OpenAI 투자, Azure AI 클라우드 확대
• Alphabet (GOOGL): Gemini 검색·AI 서비스, 자율주행 (Waymo) 포함
• Palantir (PLTR): AI 데이터 분석 주도, 고성장·고변동성
• Broadcom (AVGO): 네트워킹 및 AI 가속기, 배당 포함
• Samsung Electronics (005930.KS): HBM3 메모리로 AI 서버 시장 공략



💡 투자 전략 제언
• 국내 우선 접근: 카카오+더존비즈온+크라우드웍스 등 AI 실행력이 있는 종목 위주 포트폴리오 구성
• 글로벌 분산: Nvidia·TSMC·MSFT로 안정성 확보, Palantir와 같은 고위험 종목 일부 혼합 가능
• 밸류에이션 주의: 고P/E·고PEG 종목의 경우 조정 리스크 존재
• 모니터링 요인: 한국 AI 정책(예: 이재명 정부 2차 추경), 카카오 AI 서비스 론칭 실적, 자회사 실적 발표 등을 주시